Game Effecter

2020년 10월 26일 월요일

( Node ) UnderStanding IF / Brush Effect / 몬스터 Texture Disolve

  • IF문 활용
  • Emission에 광을 강하게 주고 싶으면 Abledo의 색상값을 검정으로 수정
  • Emission의 색상 값을 수정하면 Highlight의 색보정한다고 보면 된다.


(NODE) 연기타입의 양 끝을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하려면 Multiply를 통해 Opacity Clip에 연결한다.

fig1. Grad Basic

IF문은 0과 1로 이루어진 컴퓨터언어의 생태계를 이해해야한다.

IF문을 활용한 Node ( Shader Fodge )

  1. 1. Texture(Grad)를 Shader에 넣는다
  2. 2. IF문 A에 Slider
  3. 3. IF문 B에 Texture
  4. 4. IF문 A>B에 Value(0)
  5. 5. IF문 A=B에 Value(0)
  6. 6. IF문 A<B에 Value(1) / 만약 횐색으로 나온다면 이전에 공부했던 Blend  Mode 활용(Zeo, Inverse Alpha) or Emission으로 설정된 노드를 끊고 Opacity에만 연결)
  7. Cntrl+6을 활용하여 Animation을 적용한다.
  • Opacity보다는 Opacity Clip에 넣는다. 왜그런가 하면은 횟 긋기를 거칠게 빠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IF문을 대체할 수 있는 명령어 STEP A

  1. A에 Slide
  2. B에 Texture( RGB가 아닌 R만 넣어준다. )

AMP를 활용한 IF문 NODE 제작법

  1. 이펙트 Texture를 위한 기본 설정사항 변경
  2. Shader Fordge와 동일한 노드 연결
*한자 횟 긋기뿐만 아니라 몬스터가 서서히 사라지는 이펙트를 만들고자할 때 동일한 Node로 설계한다.

서서히 사라지는 마법 문양을 만들 예제

  1. A 값에 Slider/Cloud Texture를 Multiply한 노드 연결
  2. B 값에 문양 Texture 연결

몬스터 Texture가 서서히 사라지는 예제

  1. Shader의 기본 값을 Unlit에서 Standard으로 수정 / Blend 모드를 Alpha Blend로 수정
  2. Abeldo에 몬스터 텍스쳐 연결
  3. A값에 사라지게 만들 Texture 연결
  4. B값에 Slider로 연결
  5. A>B값에 Value(0)연결
  6. A=B값에 Value(0) 연결
  7. A<B값에 Value(1) 연결
*Alpha Blend 모드의 경우 문양의 검정색이 빠지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Opacity에 문양 Texture를 연결해준다.

fig2. Monster Texture Dissolve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