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e Effecter

2020년 10월 27일 화요일

( Node ) IF Dissolve 제작방법론

색상을 통해 Dissolve Effect를 만드는 방법론 ( 괴물이 죽어가는 장면 연출시 사용 )

[ 제작 파일 : UDK ] 
IF Dissolve는 Sin과 Time을 활용한다.
IF Dissolve는 RGB중 한 자리만 연결해준다는 것을 염두해야한다.

  1. Time에 Sin 노드를 연겨해준다.
  2. RainBow/Sin/ValueMultiply에 연결해준다.
  3. UV에 Rotator를 연결해서 Rainbow Texture에 연결해준다.
  4. Rotator의 AngValue(-0.5)를 넣어준다. ShaderFordge는 파이(3.14=180도/1.57=90도)를 통해 각도를 조절한다.
  5. 이전에 제작된 Sin각도를 돌린 Texture하고 Multiply로 연결
  6. R/S/V의 Multiply각도를 돌린 MultiplyAdd로 연결해준다.
  7. 이전에 제작된 Sin새로 만든 Add하고 연결해준다.
  8. 최종적으로 제작한 Add Power 노드와 연결한다. ( Exp=Value(25) ) { 물결에서 강하게 반짝이는 효과를 주려면 Node 마지막에 Power 노드를 연결해준다. }
  9. 제작한 Power 노드는 Opacity Clip과 연결한다.
  10. IF문을 만든어서 A값 = Value(0.6=회색) / B값 = Power / A>B = vector(1.0/0.2/1.0) / A=B = vector(1.0/0.2/1.0) / A<B = Vector(0/0/0)
  11. 11. 제작한 IF문은 Emmision에 연결해준다.

*Value(0.6)은 회색을 표현할 수 있다.
*Vector3 (1,0.02,1)로 보라색을 표현 할 수 있다.
*EXP의 개념 : 제곱근을 해주는 기능으로 Val은 아랫숫자 Exp는 승을 뜻한다.

fig1. IF Dissolve Node

fig2. AMA Node 
( Rotator를 활용하는 방식만 다르며(3.14) Blend 설정을 Alpha Blend )


무지개 파일 제작방법론

  1. 1. 128X128 파일 제작 - 간단하게 브러쉬로 획긋기
  2. 2. Filter Cloud 적용
  3. 3. Fliter Cloud를 통해 Cloud 이미지 제작
  4. 4. Fliter Cloud를 통해 Cloud 이미지 제작
  5. 5. R/G/B - Channel에 각각에 제작한 Fliter Cloud를 넣어준다.

*옆에 경쟁 업체를 이길려면 Batches를 활용을 잘해야한다. ( Splite 데이터 + 아틀라스 기법 = 16 X 3 = 48장의 이미지들을 만들 수 있다. )
*최적화 기법을 이해해야 한다. ( Unity Package로 MB를 확인이 된다. )
*캐주얼 풍은 단색을 사용하지만 실사풍은 단색을 활용하지 않는다.


최적화 Texture 제작방법론

  1. 1. R/G/B에 각각의 다른 이미지를 넣는다.
  2. 2. 제작한 파일을 Taga로 추출한다.
  3. 3. Shader Forge를 통해 R/G/B의 이미지들을 각각 따로 추출할 수 있다.

죽을 때 타이밍 맞추는 방법 : 기존에 Sin을 Slider/Dynamic Parameter로 변경하면 된다.


Ampfie에서 자체적으로 예제들을 제공해준다. 그래서 자체적으로 공부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공된 Source를 공부하는 것을 좋다.
Amplifi에 대한 공부는 wiki[ i ]를 누르면 기능을 이해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Shaderfordge에서 제공해주는 webpage를 통해 공부하는 것이 좋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