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e Effecter

2020년 10월 13일 화요일

( 3Ds Max ) Particle을 활용한 연기제작방법론

연기 이펙트 제작방법 예제

  • Group for / Fade for은 일단 0으로 그리고 차후에 설정값을 변동한다.
  • ( 모바일 게임에서 파티클로 회오리 못 만든다 / 평균 16개의 파티클을 활용한다. )
  • Speed - 0.5
  • Particle - 24개 ( 16개 이하 ) - 모바일 게임 기준
  • 개수가 적으면 사이즈를 키워야한다. - Spin Variation을 높인다.


  1. 연기 텍스쳐 - 구글링 or 자체제작 ( Fume or Maya or Other Program )
  2. 텍스쳐를 두장 정도를 쓰면 좋다.
  3. 텍스쳐에서 사용할 부분을 자른다.
  4. 브러쉬를 활용하여 외각을 지운다 ( 농도를 너무 높게 잡으면 결이 다 보이는 단점이 존재한다. )
  5. Phase오 Varation 까지 설정값을 수정해야 연기가 똑같은 패턴으로 잡히지 않는다. ( 반드시 모든 설정 값을 바꿔줘야한다. / 연기의 결을 제거 해주는 작을 해야한다. )


그외의 제작방법 1

  1. Sphere을 하나 생성
  2. PArry 4개 생성
  3. Sphere 에 Parry를 모두 연결 ( 각각의 텍스쳐 )

그외의 제작방법 2

  1. SuperSpary 하나를 더 만든다. (Copy)

fig1. Smoke
fig2. Finding Texture

fig3. Edit Texture

fig4. Particle Setting 1

fig5. Particle Setting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