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e Effecter

2020년 11월 8일 일요일

( 2D Effect ) 2D이펙트 제작방법 기초

2D 이펙트 제작방법론

  1. 레퍼런스 자료 찾기 (어떻게 변화를 줄지 설정한다)
  2. 스케치 제작 ( 스토리보드 형식 ) : 세세하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큰 변화 위주로 스토리보드를 제작한다/기승전결
    • (ex: 1:빛이 모인다/2:검이 생성된다/3:땅으로 꽃힌다/4:주변 이펙트와 번개, 파편/5:번개장상, 파동 먼지/6:검,먼지 사라짐, 전체적으로 어두워진다 )
    • 스토리상 큰 부분들을 먼저 제작해주고, 차후에 제작한다
  3. Window에 Animation or Timeline을 클릭해준다. ( 만약 타임라인으로 UI가 나온다면 오른쪽 하단에 Frame 모드로 변경해준다. )
  4. Animation 레이어를 제작해준다. (딜레이 값을 수정해준다/한번에 수정하기 위해서는 Shift를 눌러 전체 Layer를 선택하고 딜레이 값을 수정한다. )

  1. 애니메이션 레이어 제작방법

      1. 새로운 애니메이션 레이어제작
      2. 새로운 레이어 생성
      3. 새로운 레이어에 스케치
      4. 새로운 스케치가 전체 애니메이션에 적용되어서 전체 애니메이션을 선택하여 새로운 레이어를 꺼준다.
      5. 새로 만든 애니메이션 레이어에만 새롭게 생성한 레이어를 켜준다.
        • 그러나 전체 애니메이션의 딜레이가 동일하여 기 모이는 레이어는 딜레이를 길게, 떨어지는 장면, 번개가 치는 장면의 딜레이는 짧게 수정하여 2D Effect에 긴장감을 준다
        • 사전에 기가 모이는 부분과 칼이 꽂히는 부분등을 가이드해줄 가이드라인을 디자인해 놓고 작업하길 권장

  • 2D 이펙트 포트폴리오에서 큰 변화가 있는 장면들은 따로 Sheet 스타일의 파일로 저장해 놓아 보관해 놓는 것을 권장 ( 12장의 화면분할 이미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