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ty ) Particle System 기본 5 - Trail, Noise
* 이제는 이펙터 신입이 3년차까지 뚫을 수 있다
* 2D 이펙트에 신경을 써서 이펙터로써의 차별성을 줘야하기 때문에 시간을 잘 활용해서 2D 이펙트를 제작해야한다
* 취업할때는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보고 지원해야 한다
* 12월 3일까지는 Unity 마법 진 제작완성을 목표로 - 6개를 만들어야 반이상 왔다고 생각해야 한다
* 용량을 많이 사용된 작품은 포트폴리오 뒷편이 넣는 것을 권장
Trial이란?
*나비(작은 포인트의 Object)를 활용할 때 Trial 기능을 함께 활용하면 효과적
- (Render)Material부분이 아니라 Trail Material에 Mat를 넣는다
- (Render)Material부분은 Trail의 머리부분의 Mat이다
- *하지만 이펙터는 Trail부분까지 건드리지 않는다, 이펙터가 담당하는 디자인은 제자리에서 도는 이펙트이다
- *Trail을 활용하기보다는 Helix를 3Ds Max에서 가져와서 UV Animation을 잡는게 더 효과적이다
- Life Time : Trail의 꼬리의 길이
- Mininum Vertex Distance : Trail의 Trail의 Vertex 간의 거리값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만약 Trail로 인해 용량이 과부화된다면 Mininum Vertex Distance를 조절하면 된다.
- *Edit ->Project Setting ->Time->Time Scale : 포폴 제작시 이펙트의 속도를 조절할 때 좋은 기능
- World : 만약 Object에 Particle System을 추가했을 때 Object의 좌표를 토대로 Particle이 나오는데 World를 체크하면 Object가 기준이 아니라 Grid 기준으로 토대로 Particle이 나온다
- Size Effects Width : 체크가 된다면 머리와 꼬리는 서로가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 Width Over Trail : Trial의 넓이를 조절하는 기능 ( 최근 동향 Shape하기 표현하기 위해서 건드려야할 기능 )
Ribbon이란?
- Speed : 0 으로 하고 noise를 추가해서 사용하면 땅에 번개가 떨어지는 효과를 제작할 수 있다
Noise이란?
*번개를 제작할 때 Noise를 활용되나 용량 문제로 인해 실무에서는 활용되기 힘든 기능이다
- Separate Axes : 축마다 Noise 값을 조절하는 기능
- Strength : Noise의 수치 값을 주는 기능으로
- Frequency : Noise의 빈번도를 조절하는 기능 ( Bump Map의 기능과 동일하다 / 흰색 = 나와라 , 검정색 = 들어가라)
- Scroll Speed : Noise의 움직임을 주는 기능으로 Noise의 Various를 줄 때 활용
- Dumping : 제한하는 기능
- Octaves : Noise의 단계를 높이는 기능으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