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ty ) Particle System 기본 7 - Inherit, Life Time, Speed
* Create Empty(Dummy)를 만들고 제작하는 파티클들을 Empty 안에 넣어준다 ( Folder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
* (Tip) 우측버튼을 활용하여 Reset, Copy, Paste
* (Tip) 여러개의 Particle을 한번에 통재할 수 있는 방법은 Open Editor를 통해 통제할 수 있다.
Inheirt Velocity이란?
* 반드시 Simulation Space를 Local에서 World로 수정해주고 작업을 진행해야한다.
- Mode : Particle의 Inheirt Velocity가 있는 그 차이는 다음과 같다.
- - Inital은 초기부터의 Particle에 영향을 준다
- - Current는 나와 있는 Particle에 영향을 준다
Color of Life Time이란? ( 중요 )
- 파티클의 생명주기를 기준으로 색상이 변화되는 개념이다
* Life Time과 Start Color 차이를 반드시 알아야한다 ( 중요 )
- ** Start가 붙은 속성은 Duration에 따라 변하는 개념이고(빠른호흡이 있는 칼잔상을 제작할 때 활용하기 좋다, Time이 붙은 속성은 Start Life Time에 따라 변하는 개념이다. )
- **Start Color와 Color of Life Time을 함께 활용하길 권장
Color by Speed이란?
- 파티클의 속도에 따라 파티클의 색상이 변화된다.
Size by Speed이란?
- 파티클의 속도에 따라 파티클의 크기가 변화된다.
Size of Life Time이란?
*Start Size 그래프와 함께 활용하지 않는다.
- 파티클의 크기가 파티클의 생명주기에 따라 변화된다.
Rotation over Lifetime이란? ( 연기타입 이펙트에서 활용 )
*이펙트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Rnd by two Constant로 설정해서 활용하기 권장한다.
* Seperate Axis를 활용하면 깨지는 유리 이펙트를 제작하기 수월하다.
- 파티클의 회전의 정도가 파티클의 생명주기에 따라 변화된다.
Rotation over speed이란?
- 파티클의 속도에 따라 회전하는 정도가 변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